news/marketing&

`바람 잘 날 없는` 애플 아이폰

부처핸썸 2007. 10. 17. 11:43
`바람 잘 날 없는` 애플 아이폰
[디지털타임스 2007-10-17 08:02]


AT&T 가입자 사용 방식으로 반독점 피소

그린피스는 유해물질 발견 환경문제 '압박'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잘 날 없다'

애플 아이폰이 유명세를 톡톡히 치르고 있다.

지난 6월 출시된 아이폰은 전면 터치스크린과 고객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등이 화제를 모으면서 전세계인의 주목을 한몸에 받고 있는 애플의 기대주다. 미국에 이어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서유럽 지역에서 다음달부터 판매에 들어간다. 출시 이전단계에서 정보유출을 최대한 차단하고 각 나라별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를 한 곳만 선정하는 등 독특한 사업방식도 아이폰을 다른 회사의 휴대폰들과 구별짓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이폰 판매량은 출시 70여일만인 9월 초 100만대를 넘어서는 등 순항을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애플 특유의 사업전략에 대해 역풍도 적지 않게 일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이 갑작스런 가격인하와 제한적인 판매정책에 반발해 애플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에 이른 것. 여기에다 환경단체인 그린피스가 아이폰에 상당수의 유해물질이 포함돼 있다고 지적함에 따라 회사 이미지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그린피스, "아이폰에서 유해물질 발견"=그린피스는 아이폰을 분해해 조사한 결과 여러 부품들에서 브롬화난연제(BFR)와 폴리염화비닐(PVC)이 검출됐다고 15일(현지시각) 밝혔다.

BFR와 PVC는 불에 탈 경우 환경호르몬 물질인 다이옥신을 생성하는 물질들이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조사가 실시된 아이폰 부품 18개 중 절반에서 BFR이 검출됐다. PVC는 헤드폰 케이블 코팅에 사용됐다.

이와 관련, 그린피스는 애플이 노키아, 모토로라, 소니에릭슨 등 경쟁업체들에 비해 환경보호에 소극적이라고 비난했다. 현재 노키아는 모든 제품에 PVC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모토로라와 소니에릭슨은 BFR이 없는 제품들을 시장에 내놓고 있다. 그린피스의 릭 힌드 유해물 캠페인 담당이사는 "이미 노키아가 유해물질 사용을 중단하고 있는 마당에 애플이 이에 동참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린피스의 이번 발표는 환경문제와 관련해 IT업계의 `아이콘'격인 애플을 계속해서 압박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5월 애플은 `더 푸른 애플(A Greener Apple)'이라는 이름의 환경보호 캠페인을 발표하면서, 내년 말까지 제품 내에서 BFR과 PVC, 비소(As) 사용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LED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수은(Hg) 함유량도 대폭 줄일 계획이다.

◇판매 및 사용방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도 잇따라=아이폰 판매와 사용방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도 적지 않다.

현재 미국에서는 AT&T 가입자들만이 아이폰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자들의 사용기회는 원천적으로 봉쇄된 셈이다. 이에 반발한 일부 사용자들은 아이폰 시스템 해킹을 통해 `제한장치 해제'에 나서고 있으나 애플은 법적조치를 불사할 것이라며 통제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이달 초 뉴욕의 아이폰 사용자 2명과 캘리포니아 주민 1명은 각각 연방법원과 주법원에 애플과 AT&T를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고소인들은 애플이 아이폰을 다른 이통서비스에서 이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애플과 AT&T가 독점행위를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갑작스런 가격인하와 관련해서도 애플은 소송에 휘말려 있다.

지난 9월 애플은 8GB급 아이폰 가격을 599달러에서 399달러로, 4GB 가격을 499달러에서 299달러로 각각 인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4GB 모델의 신규 생산은 중단됐다. 큰 폭의 가격인하를 통해 고객몰이에 나서겠다는 방안이었다. 하지만 가게 앞에서 밤새워가면서 아이폰 출시를 기다린 끝에 제값을 다 주고 산 초기고객들의 불만은 컸다. 소비자들의 반발이 커지자 애플은 기존 고객들에게 100달러짜리 쿠폰을 지급하겠다며 수습에 나섰지만, 결국 소송을 피하지는 못했다.

지난달 말 한 고객은 애플을 상대로 무려 100만달러의 손해배상 소송을 뉴욕 연방지방법원에 제기했다. 소송가액의 대부분은 정신적 피해에 따른 위자료라는 것이 원고측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