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키, '툭하면 소비자 탓'...A/S 발뺌?
[스포츠조선 2007-10-18 12:40]

소보원 접수 불만 사례 압도적 1위…경쟁사 3배 넘어

에어-접촉 불량 재발-탈색 등 A/S 잇단 거부…소비자 분통

나이키 "개인 판매자-병행수입 제품 많아 제품관리 어려움"

 고가의 나이키 운동화에 대한 소비자들의 A/S불만 사례가 줄을 잇고 있다. 소비자보호원에 접수된 불만 사례.
 고가의 나이키 운동화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가격이 20만원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지만, 정작 소비자 불만 처리에 관해서는 무성의하다는 비판이 따갑다. 화요일(16일) 현재 한국소비자보호원에 접수된 인터넷 상담사례만을 살펴보면 올들어 접수된 나이키 관련 불만 사례는 모두 82건 (의류 포함)에 이른다. 이는 경쟁사인 아디다스(24건)나 프로스펙스(1건) 등과 비교하면 턱없이 높은 수치다. 나이키측에서는 "타 브랜드에 비해 매출 규모가 3~4배 많고, 브랜드에 대한 기대치도 높다보니 불만사례도 상대적으로 많은 것 같다"고 하지만, 별로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나이키 운동화
 ▶에어 부분은 A/S 안돼?

 에어 부분에 관한 소비자 민원은 특히 많다.

 경기 화성에 거주하는 이모씨는 서울 강남의 한 백화점에서 나이키 운동화(airmax 360)를 구입했다. 지난 4월말 밑창의 에어부분이 터져 거주지 나이키 매장에서 수리를 요구했지만 산 매장에서만 수리 의뢰를 하라고 해서 다시 강남까지 갔다.

 매장 직원은 "본사에 의뢰해서 검사를 한다"며 접수를 했고, 며칠 후 "고객의 과실로 인해 에어가 터진 것이고, 때문에 수리 불가다"라는 답변을 내놓았다.

 이씨는 "정말 어이없는 상황이었다"며 "보증기간이 6개월인데 그 안에 환불이나 교환도 안되면 도대체 어떻게 하라는 말이냐. 이런 내용의 상담 요청이 엄청 많은 것 같은데 긍정적인 답을 들었으면 좋겠다"며 소보원에 민원을 접수했다.

 ▶접촉 불량 재발은 고객 실수 탓

 지난 2월 용인의 나이키 매장에서 가장 비싼 조던 운동화를 구입한 이모씨는 4개월이 지나 오른쪽 밑창에 있는 둥근 무늬가 접착불량으로 떨어져 A/S를 맡겨 수선받았다.

 그러나 40일이 지난 8월 15일쯤 똑같은 부위가 다시 떨어져 나가 A/S 및 교환을 요구했다.

 매장에선 "접착불량으로 A/S를 받은 지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제는 고객의 실수이며, A/S불가 판정이 나왔다"는 답변을 내놨다. 이씨는 "구입한 지 6개월 밖에 안돼 이런 식으로 소비자 과실이라는 결과를 내놓고 제품 교환이나 환불은 물론 A/S도 안된다고 하니 분통터진다"며 민원을 신청했다.

 이에 대해 나이키측에서는 올해 동일한 하자로 환불 및 교환 처리가 된 세차례의 사례를 소개하며 "소비자의 불만 접수 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색깔 빠지는 게 소비자 잘못

 올해 3월 서울 양천구의 한 나이키 매장에서 15만원을 주고 딸의 운동화를 구입한 윤모씨는 수학여행을 갔다온 딸의 발이 온통 검정색으로 물 든 사실을 발견하곤 깜짝 놀랐다.

 이에 윤씨는 본사에 A/S요청을 했지만, "가죽제품이기 때문에 약간의 물빠짐이 있을 수 있지만, 교환이나 A/S는 해줄 수 없다"는 답변을 들어야 했다.

 윤씨는 "고액을 주고 산 신발인데 시장의 싸구려 제품보다 질이 떨어진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이런걸 소비자의 잘못이라고 하는 데 보상받을 길은 없나요"라며 소보원에 제보했다.

 이처럼 불만사례가 많은 것은 직영 매장은 11곳에 불과한 반면 전국 600여곳은 개인 사업자 소유의 판매점인 터라 교환-환불이 쉽지 않고, 최근에는 짝퉁제품이나 병행수입 제품까지 나돌면서 체계적인 제품관리가 어렵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한국나이키 본사 관계자는 "사실 병행수입 제품에 대한 A/S까지는 책임을 질 수 없는 것 아니냐"며 "본사에서는 소비자에게 최선의 A/S를 제공하기 위해 소보원의 소비자피해보상규정 원칙을 철저히 따르고 있으며, A/S판정 가이드 내용을 현재 준비중"이라고 해명했다.

 < 나성률 기자 scblog.chosun.com/nasy23>


국가대표팀 유니폼스폰서, 나이키로 사실상 확정
[스포츠서울 2007년 10월 16일(화) 11:47]



나이키가 국가대표팀의 유니폼 스폰서로 사실상 확정됐다.

대한축구협회 김호곤 전무는 16일 “협회의 요구조건을 나이키측이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혀왔다. 승인절차만이 남았을 뿐 사실상 나이키로 확정된 것으로 봐도 좋다”고 밝혔다. 나이키측도 “14일 오후 협회에 제안서를 제출했다. 금액은 확인해줄 수 없다. 협회가 검토해 수용여부를 결정하는 일만 남았다”고 확인했다.

협회는 지난달 28일 이사회를 열고 계약기간 4년에 현금 250억원과 용품을 비롯한 기타 옵션이 포함된 새로운 제안서를 나이키측에 제시했다. 이후 아디다스가 이를 훨씬 상회하는 4년간 293억원의 제안을 내놓았지만 협회는 22일까지로 우선협상기간을 연장하며 나이키의 최종결정을 기다려왔다.

협회는 “자질구레한 이벤트나 성적에 따른 옵션 등은 모두 빼고 현금과 용품 지원만 계약서에 포함했다”고 밝혔다. 현금 250억원과 용품 250억원 등 50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아디다스의 293억원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나이키와 계약금은 단순한 250억원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는 것이 협회의 주장이다. 나이키와 기존 계약기간 동안 블랙아웃 조항을 위반한 데 따른 위약금을 절약했고. 독소조항이었던 블랙아웃을 계약서상에서 삭제했으며. 90일전까지로 못박았던 배타적 우선협상 기간을 단축해 향후 재계약시 보다 투명하고 공개적인 경쟁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협회는 올림픽대표팀의 시리아 원정길에 동행한 가삼현 사무총장이 귀국하는대로 이사회를 재소집해 나이키의 제안을 받아들일지를 결정하게 된다. 협회는 “시간이 촉박할 경우 서면으로 처리할 수도 있지만 중대한 사안일수록 원칙에 충실해야 하기 때문에 이사회를 소집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아디다스 “4년 293억원 주겠다”
[2007년 10월 6일(토) 5:10 중앙일보]


[중앙일보 정영재] 축구대표팀 유니폼 후원사가 되기 위한 나이키와 아디다스의 베팅 싸움이 점입가경이다.

아디다스는 현금 293억원을 베팅했다. 대한축구협회가 나이키에 요구한 260억원보다 33억원 많은 액수다.

아디다스코리아 마케팅 담당 강형근 이사는 5일 “4년간 현금 293억원(물품 제외)을 축구협회에 제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디다스가 나이키보다 훨씬 많은 금액을 제시함에 따라 축구협회가 어떤 결정을 할지 주목된다.

축구협회는 지난달 28일 이사회에서 우선협상권을 갖고 있는 나이키의 ‘4년간 현금 200억원+물품+축구 관련 이벤트 비용’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했다. 협회는 대신 ‘물품·이벤트비와 별도로 현금 260억원을 내라’는 최종 수정안을 나이키 측에 제시하고, 10월 22일까지 결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나이키 측은 “신중하게 검토 중”이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나이키가 이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협회는 아디다스·푸마 등 다른 업체의 제안을 받아 가장 좋은 조건의 업체를 선정하게 된다.

축구협회는 나이키와 2003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5년간 현금 150억원(매년 30억원)과 현물을 포함해 총 380억원의 스폰서 계약을 맺었다. 협회가 아디다스의 제안을 받아들인다면 2003년보다 96% 인상된 후원금을 받게 된다.

그렇지만 현재로서는 나이키가 유리한 입장이다. 우선협상권 외에도 ‘블랙 아웃(다른 축구화를 신고 A매치를 뛸 경우 축구화의 로고를 검게 칠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는 카드를 쥐고 있기 때문이다. 나이키는 2003년 계약서에 ‘블랙 아웃을 지키지 않을 경우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는 조항을 넣었다. 나이키 측은 ‘블랙 아웃을 어긴 사례가 100여 건 되고 위약금 액수가 170억원에 이른다’고 주장하며 재계약이 안 될 경우 소송을 검토하고 있다. 협회는 돈도 문제지만 소송을 할 경우 정몽준 회장 등 협회 임원들이 받을 타격이 크다고 보고 ‘소송만은 막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협회는 나이키와 재계약하면서 블랙 아웃 문제도 깨끗이 털어버릴 계산이다. 협상 실무를 총괄하는 협회 가삼현 사무총장은 “나이키 측에 제안한 내용 중에는 ‘블랙 아웃 조항을 2003년 시점으로 소급해 완전 삭제한다’는 것도 있다”고 말했다.

아디다스 측은 “협회가 ‘노비 계약’에 발목이 잡혀 나이키의 기득권을 지켜주려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 Recent posts